

무화과나무속은 밝고 간접적인 빛을 필요로 하며 꾸준히 촉촉하지만 잘 배수되는 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특별한 관리 요인은 습도 조정으로, 무화과나무속은 높은 습도 수준을 선호하며, 모양과 크기를 유지하기 위한 정기적인 가지치기입니다. 무화과나무속은 빛과 온도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관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물 주기: 2-3주마다
햇빛 요건: 부분 햇빛
사람 & 반려동물에게 유독함
관리 난이도 | 쉬움 |
수명 | 다년생 |
급수 일정 | 2-3주마다 |
햇빛 요건 | 부분 햇빛 |
토양 pH | 5.5-7 |
심는 시기 | 봄, 초여름, 초가을, 중추 |
내한성 구역 |
6-13
|
독성 | 사람 & 반려동물에게 유독함 |
벤자민고무나무(Ficus benjamina)는 열대 지역에서는 공원이나 가로수로 인기가 많지만 한국에선 주로 실내용 나무로 키운다. 하지만 먼지, 반려동물과 더불어 실내 알레르기 유발원으로 손꼽힌다. 라텍스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특히 주의해야 한다.
인도고무나무(Ficus elastica)는 나무의 잎은 두껍고 윤기가 나며 한국에서는 주로 온실이나 실내에서 기른다. 옛날에 탄성고무 자원으로 활용되었으나 파라고무나무가 발견되고부터는 관상용으로 심는다. 갈색의 가지를 자르면 유액이 나오는데 이를 굳히면 생고무가 된다. 유액은 독성이 있으므로 피부에 직접 닿지 않게 하는 게 좋다.
떡갈나무잎고무나무의 가장 큰 특징은 바이올린 또는 고대 현악기 리라를 닮은 잎모양이다. 떡갈나무잎고무나무라는 명칭은 떡갈나무 잎을 닮아 붙여진 이름이다.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는 정원수로 인기가 많으며 온대지역에서는 실내 관엽식물로 재배하나 열매나 꽃이 열리지는 않는다.
대만고무나무(Ficus microcarpa)은 도시 환경에서 강한 생명력을 보이는 열대 나무이다. 건물 외벽, 다리, 고속도로 등 콘크리트 구조물에서도 자랄 만큼 오염에 잘 견딘다. 하지만 강한 뿌리가 인도와 포장도로를 들어 올리는 경우도 적잖게 발생하므로 캘리포니아에서는 대만고무나무 식재를 더 이상 권장하지 않는다.
무화과나무(Ficus carica)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것은 60여 년 전입니다. 무화과나무는 봄부터 여름에 걸쳐 잎 겨드랑에 혹 같은 화서가 자라 열매로 성숙한 것이 바로 무화과이다. 충청남도 이남의 따뜻하고 토심이 깊고 비옥한 곳에서 잘 자라며, 내조성이 좋고 나무가 어려서도 꽃이 피는 습성이 있다.
1,000만 건의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한 무화과나무속의 흔한 질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