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체험
tab list
PictureThis
한국어
arrow
English
繁體中文
日本語
Español
Français
Deutsch
Pусский
Português
Italiano
한국어
Nederlands
العربية
PictureThis
Search
식물 검색
무료 체험
Global
한국어
English
繁體中文
日本語
Español
Français
Deutsch
Pусский
Português
Italiano
한국어
Nederlands
العربية
이 페이지는 앱에서 더 잘 보입니다
picturethis icon
식물을 즉시 식별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찍어 즉시 식물을 식별하고 질병 예방, 치료, 독성, 관리, 용도, 상징 등에 대한 빠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앱 무료 다운로드
계속 읽기
Img leaf leftImg leaf right

잔잔에서 가장 흔한 식물 Top20

잔잔에서 밀, 산세베리아, 스킨답서스, 자주색달개비, 금전수 등을 찾을 수 있습니다! 총 20가지의 식물이 있습니다. 거리, 공원 또는 공공 정원을 걸을 때 이러한 일반적인 식물을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Icon common plants
가장 흔한 식물
밀
1. 밀
밀은 오래된 역사를 지닌 재배 작물 중 하나이다. 보리보다 빳빳하고, 뿌리도 더 깊게 들어가 가뭄이나 척박한 곳에서도 잘 견딜 수 있다. 세계 2대 식량작물로 제과, 제빵, 제면용으로 많이 쓰이며 술이나 가축사료를 만드는 데도 사용된다. 오래된 줄기나 짚은 포장재나 정원용 덮개로도 사용된다.
산세베리아
2. 산세베리아
산세베리아(Sansevieria trifasciata)는 잎이 뱀처럼 생겼다 하여 영어로 '뱀 식물(Snake plant)'이라고 불린다. 산세베리아의 질긴 식물 섬유는 활 시위를 만드는 데 쓰였다. 지금은 주로 관상용 실내 식물로 재배된다.
스킨답서스
3. 스킨답서스
스킨답서스(Epipremnum aureum)은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화초로, 대한민국에서는 국민 화초라고 불릴 정도로 많이 키웁니다. 키우기가 쉬워 입문자에게 좋습니다. 스킨답서스는 공기 정화 효과도 있지만 생명력과 번식력이 강해 야생에서는 생태계를 파괴하는 주범으로 여겨지기도 해, 일부 지역에서는 '악마의 덩굴(Devil's ivy)'라고 이름까지 붙였다고 합니다. 또한 독성이 있으니 절대로 식용해서는 안 되는 식물입니다.
글로벌 식물 탐사를 위한 필수 앱
미국 토착 식물부터 필리핀 열대 식물까지, 앱을 통해 전 세계의 식물을 발견하세요.
앱 무료 다운로드
자주색달개비
4. 자주색달개비
자주색달개비(Tradescantia pallida)는 한국에는 미등록 식물로 줄기와 잎이 모두 보라색이지만 잎을 뒤집어보면 자주색이며, 그 모습이 신비하고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된다. 잎과 줄기의 색이 어두운 편이므로 배합하는 화재들은 선명한 대비를 이루는 것을 추천하며 따로 물 올리기는 필요하지 않다.
금전수
5. 금전수
금전수는 반들반들한 윤기 있는 잎과 관리가 비교적 수월하기에 실내 장식용 화초로 인기가 좋다. 과습 상태에서 저온이 되면 뿌리가 썩기 쉬우므로 물 빠짐이 좋은 흙에서 키워야 한다. 토양의 표면이 말랐을 때 물을 주며 겨울철에는 흙이 완전히 말랐을 때 관수를 해야 한다.
디펜바키아 세구이네
6. 디펜바키아 세구이네
디펜바키아 세구이네은 장식용 및 관상용으로 실내에서 많이 재배한다. 초록색의 잎에 하얀색의 얼룩덜룩한 무늬가 특징이며, 흰 꽃이 핀다. 실내 재배 시 주의할 점은 너무 많은 물을 주지 않아야 하며 강한 직사광선을 피해 화분을 놓아야 한다. 식물의 수액에 유독성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사리풀
7. 사리풀
사리풀 은 보통 30 cm 에서 60 cm (극단의 경우 최대 약 1.7 m )의 높이로 자라는 초본 식물입니다. 뿌리는 스핀들 모양이고 사탕무 모양은 위쪽을 향하고 줄기는 선모로 인해 끈적입니다. 잎은 장방형이고 대략 치열하다. 장미 잎은 잎자루이며 줄기는 줄기를 둘러싸고있다.
홍콩야자
8. 홍콩야자
홍콩야자(Schefflera arboricola)는 중국이 원산지인 상록수 다엽 관목이다. 왕성한 번식력을 자랑해 실내에서 쉽게 기를 수 있다. 잎이 우산 모양처럼 생겨 우산 나무라고도 불린다. 짙은 자색의 열매가 달린다.
사철나무
9. 사철나무
사철나무(Euonymus japonicus)는 사계절 내내 초록색을 유지하는 데서 이름이 유래했다. 정원수로 주로 사용되며, 집 주변에 심어 생울타리를 조성할 수도 있다. 독도에 있는 100년 된 사철나무는 '독도 수호목'으로 유명하다.
금잔화
10. 금잔화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는 영어로는 포트 메리골드, 한국에서는 금잔화라고 불립니다. 예로부터 미신으로 여러 가지 사랑점을 치는데 이용되기도 했습니다. 금잔화는 고가의 사프란의 대체용으로 사용이 가능해서 '서민의 사프란'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기도 합니다. 사프란의 대용으로 볶음밥의 색을 더하거나 염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화원에서 판매되는 매리골드는 대부분 프렌치 메리골드로서 포트매리 골드는 아닙니다.
멜론
11. 멜론
멜론은 토양 적응성이 약해 유기질이 풍부하고 통기성이 좋고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우리나라의 참외와 비슷하나 껍질은 더 딱딱하고 육질은 더 부드럽고 달다. 여름철 냉동해서 빙수, 아이스크림, 주스 등을 만들어 먹기도 하며 일본의 혼성주 '미도리'는 멜론 맛으로 유명하다.
서양민들레
12. 서양민들레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는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이지만, 한국에서도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날씨에 예민한 꽃으로 아침 6~7시에 꽃이 피기 때문에 ‘농부의 시계(Peasant Clock)’이라는 부지런한 별명으로도 불립니다. 하지만 날씨가 무더워지거나 비가 올 것 같으며 알아서 꽃잎을 오므린다니 참 영특한 꽃입니다. 과거 유럽에서는 귀중한 약초로 쓰였습니다. 이 식물의 라틴어 학명인 Taraxacum officinale는 ‘taraxis(불안)’과 ‘aceomai(치료하다)’의 합성어라고 하니, 그 역사를 잘 알 수 있겠죠?
등대풀
13. 등대풀
습기가 적은 마른 땅에서 자라는 등대풀은 '이루고 싶은 사랑'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습니다. 잎은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을 하고 있어 독특한데 끝부분 밑에서 5개의 잎이 돌려나기를 합니다. 봄이 오면 꽃이삭에 꽃차례가 달리게 됩니다.
러브풍로초
14. 러브풍로초
러브풍로초는 토착식물의 서식지를 빠르게 점령하여 유해 허브로 간주된다. 분홍색의 꽃이 피며, 줄기와 잎은 끈적한 털로 덮여있고, 불쾌한 냄새가 난다. "Herb rober"라는 영문명은 약초학자 세인트 로버트의 이름, 또는 로빈후드로 알려진 로버트 굿펠로우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숙근양귀비
15. 숙근양귀비
숙근양귀비는 덩어리로 자라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줄기와 잎에 약간의 털이 있다. 꽃이 주홍색을 띠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다른 품종은 주황색과 분홍색, 흰색과 자두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색을 띤다.
가죽나무
16. 가죽나무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의 이름은 가짜 죽나무란 뜻이다. 목재는 가구재, 기구재, 농기구재로 사용하며 잎은 가죽나무 누에의 사료로 쓴다. 프로펠러처럼 생긴 열매의 날개 안에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미국흰불나방의 피해가 심각하므로 유의해야 한다.
접시꽃
17. 접시꽃
접시꽃(Alcea rosea)은 접시 모양처럼 생긴 꽃이다. 한국에서는 도종환 시인이 병든 아내를 간호하며 써내려 간 시, '접시꽃 당신'으로 유명해졌다. 화단, 길가, 담장 등 여러 곳에서 잘 자란다.
토끼풀
18. 토끼풀
토끼풀(Trifolium repens)은 클로버종 중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며, 햇볕이 잘 드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괭이밥과 아주 비슷하게 생겼지만 괭이밥 잎은 하트 모양이고 토끼풀 잎은 원형에 가까워, 잎을 말리면 차로 마실 수 있으며 샐러드 재료로 쓰이기도 합니다. 네잎 클로버가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알려져 있지만, 특이하게도 몽골에서는 네잎 클로버가 너무 흔해서 세잎 클로버가 더 귀한 취급을 받는다고 합니다.
협죽도
19. 협죽도
협죽도는 1920년경에 한국에 들어와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식물이다. 제주도 등 남쪽지방에서는 공원수나 가로수 등으로 야외에 심는다. 잎은 좁고 줄기는 대나무와 비슷하며 꽃은 복숭아와 같다는 뜻에서 '협죽도'라는 이름이 붙었다. 잎에 독성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람스이어
20. 람스이어
람스이어는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식물이다. 줄기의 뾰족하게 솟은 부분에 작은 보라색 꽃이 여러 개 모여서 핀다. 잎은 두껍고 부드러운 털이 있어 펠트 천 같은 질감을 가지고 있다. 만지기에 재미있는 식물이기 때문에 어린이 정원에 흔히 심는다.
PictureThis을(를) 선택해야 하는 4가지 흥미로운 이유 알아보기
식물을 즉시 식별할 수 있습니다
주변 독성 식물을 식별하세요
쉽게 나에게 맞는 식물을 찾아보세요
식물에 대한 전체 관리 팁과 요령을 얻으세요
앱 무료 다운로드
Icon code

QR 코드를 스캔하여 다운로드하세요

close
close
식물 키우기에 최대의 가이드
더 좋은 방법으로 식별하고, 키우고, 보살피세요!
product icon
17,000가지 국내종 + 400,000가지 국외종 연구
product icon
5년간의 연구
product icon
식물학 및 원예 분야의 80명 이상의 학자
ad
ad
내 주머니 속 식물학자
qrcode
PictureThis Ios DownloadPictureThis Android Download
휴대폰 카메라로 QR 코드를 스캔하여 앱을 다운로드하세요
close
close
식물 키우기에 최대의 가이드
더 좋은 방법으로 식별하고, 키우고, 보살피세요!
product icon
17,000가지 국내종 + 400,000가지 국외종 연구
product icon
5년간의 연구
product icon
식물학 및 원예 분야의 80명 이상의 학자
ad
ad
내 주머니 속 식물학자
qrcode
PictureThis Ios DownloadPictureThis Android Download
휴대폰 카메라로 QR 코드를 스캔하여 앱을 다운로드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