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료 체험
tab list
PictureThis
한국어
arrow
English
繁體中文
日本語
Español
Français
Deutsch
Pусский
Português
Italiano
한국어
Nederlands
العربية
PictureThis
Search
식물 검색
무료 체험
Global
한국어
English
繁體中文
日本語
Español
Français
Deutsch
Pусский
Português
Italiano
한국어
Nederlands
العربية
이 페이지는 앱에서 더 잘 보입니다
picturethis icon
식물을 즉시 식별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찍어 즉시 식물을 식별하고 질병 예방, 치료, 독성, 관리, 용도, 상징 등에 대한 빠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앱 무료 다운로드
계속 읽기
Img leaf leftImg leaf right

칼라오에서 가장 흔한 식물 Top20

칼라오에서 고추, 한련, 토마토, 염자, 개운죽 등을 찾을 수 있습니다! 총 20가지의 식물이 있습니다. 거리, 공원 또는 공공 정원을 걸을 때 이러한 일반적인 식물을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Icon common plants
가장 흔한 식물
고추
1. 고추
고추(Capsicum annuum)는 늦봄부터 여름에 걸쳐 재배하며 열매는 매운 맛을 내는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양념 재료이다. 꽃은 흰색이지만, 열매인 고추는 녹색의 작은 열매로 시작되어 점점 길게 커지며 익을수록 붉은색이 되며 열매 안에 많은 씨앗이 여문다. 특히 맨 처음으로 열리는 열매를 일찍 따주면 줄기의 성장에 도움이 된다.
한련
2. 한련
한련(Tropaeolum majus)는 가을을 장식하는 꽃으로, 식용꽃의 대부라고 불릴 정도로 웰빙 식용꽃으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18세기 말 편찬한 농업경제지에서 식용꽃으로 등장할 정도로 그 역사가 오래됐습니다. 겨자처럼 톡 쏘는 맛이 있어 샐러드나 샌드위치에도 잘 어울리고 잎으로 쌈을 싸 먹기도 합니다.
토마토
3. 토마토
토마토는 원산지가 남아메리카인 가지과의 한해살이풀이다. 토마토는 대항해시대인 16세기에 이탈리아에 처음 전파되어 17세기 이후 이탈리아의 식재료로 흔히 사용하게 되었다. 17세기 초 한국에도 소개되었으며 현재 전국에서 재배하는 귀화식물이 되었다.
글로벌 식물 탐사를 위한 필수 앱
미국 토착 식물부터 필리핀 열대 식물까지, 앱을 통해 전 세계의 식물을 발견하세요.
앱 무료 다운로드
염자
4. 염자
염자(Crassula ovata)는 관상용 다육 식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모잠비크 원산이다. 물을 적게 줘도 되고 모든 실내 환경에서 적응을 잘 하기 때문에 쉽게 기를 수 있다. 햇빛 아래에서 자랄 경우 색이 붉은색이나 노란색으로 변할 수 있다.
개운죽
5. 개운죽
개운죽(Dracaena sanderiana)의 이름은 대나무를 닮은 데서 유래했다. 행운을 주는 대나무로 여겨진다. 열대식물이라 추위에 아주 약하다. 물에서 쉽게 자라나며 햇빛이 잎에 직접 닿으면 잎이 탈색되거나 누렇게 마르기 때문에 반그늘에서 키워야 한다. 잎과 줄기에는 약간의 독성이 있다. 욕실에서 키우기 가장 좋은 식물 중 하나이다.
왕질경이
6. 왕질경이
왕질경이(Plantago major)는 청교도 식민지 개척자들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가져온 것으로 기록되었다. 성숙한 식물은 작은 끈, 낚싯줄 등을 만들 수 있을 만큼 유연하고 단단한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감자
7. 감자
감자(Solanum tuberosum)는 가지과의 여러해살이 작물로 예부터 한국에선 지역마다 다른 명칭으로 불렸다. 푸른 싹의 독성 물질인 솔라닌은 학명 솔라눔에서 따온 말이다. 강원도의 해발 600m이상 고랭지 지대는 일교차가 커서 감자 재배에 안성맞춤이며, 실제로 강원도에는 감자전, 옹심이 등 관련 향토 음식이 많다.
크로톤
8. 크로톤
크로톤(Codiaeum variegatum)는 열대 지방에서 온 귀화식물로 잎의 형태와 색깔의 변이가 심해 '교태'라는 꽃말처럼 특별한 매력을 지닌 식물입니다. 관리 방법은 햇볕을 받게 되면 잎사귀의 색이 다양해지고 진해지는데 이것 때문에 변엽목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으나 그렇다고 해서 직사광선에 내어놓으면 잎사귀에 화상을 입어 모양이 볼품 없어지니 밝은 간접광이 있는 곳이 가장 적합합니다.
알로에 베라
9. 알로에 베라
알로에 베라(Aloe vera)의 '베라'는 라틴어로 '진실'을 뜻하며 예로부터 효능이 뛰어난 약으로 쓰였기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을 거라고 추정됩니다. 생명력이 좋고 병충해에 강하여 재배가 수월한 편이지만, 겨울에는 동해에 걸리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화장품 원료, 식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싱고니움
10. 싱고니움
싱고니움(Syngonium podophyllum)은 착생식물로 다른 나무나 바위를 타고 오르면서 자란다. 정원에서는 지피 식물로 주로 사용된다. 실내에서 재배할 경우, 대부분은 꽃을 피우지 못한다. 수액을 포함한 모든 부분에 독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용월
11. 용월
용월(Graptopetalum paraguayense)은 유령 식물이라고도 불린다.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이 필요하며 정원에서 관상용 식물로 기른다. 온화한 기후에서 잘 자라지만 영하 10도의 날씨에도 견딜 수 있다. 잎과 줄기는 두껍고 다육질이다. 식물의 썩은 잎이 메뚜기나 해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으므로 죽은 잎은 제거해 주어야 한다.
화만초 압테니아
12. 화만초 압테니아
화만초 압테니아의 연한 녹색을 띠는 광택이 나는 잎은 타원형 또는 하트 모양처럼 생겼다. 봄부터 가을까지 자주색 꽃이 피며, 빛을 좋아해 밤과 흐린 날에는 닫혀있다. 속명 Mesembryanthemum cordifolium의 "cordifolium"은 라틴어로 심장을 뜻하는 "cor"과 잎을 뜻하는 "folium"에서 유래되었다.
산세베리아
13. 산세베리아
산세베리아(Sansevieria trifasciata)는 잎이 뱀처럼 생겼다 하여 영어로 '뱀 식물(Snake plant)'이라고 불린다. 산세베리아의 질긴 식물 섬유는 활 시위를 만드는 데 쓰였다. 지금은 주로 관상용 실내 식물로 재배된다.
땅콩
14. 땅콩
땅콩(Arachis hypogaea)은 키가 46 ~ 61 cm까지 자랄 수 있는 일년생 식물이다. 식용 종자를 얻기 위해 주로 재배되는 콩과 식물이다. 황금빛을 띠는 노란색 꽃이 봄에 핀다. 꽃이 시든 후에는 종자가 자라기 시작한다. 땅콩 꼬투리는 땅속에서 자란다. 재배되고 수확되는 땅콩과 땅콩 기름은 다양한 제품에 사용된다.
은공손수 폴투라카리아
15. 은공손수 폴투라카리아
은공손수 폴투라카리아(Portulacaria afra)는 남아프리카가 원산지인 다육식물로, 작고 둥근 초록 잎과 진홍색 줄기를 가지고 있어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 귀여운 반상록수 다육식물은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주로 건식 조경이나 분재로 사용됩니다.
안수리움
16. 안수리움
안수리움(Anthurium andraeanum)은 화려한 색깔과 잎 덕분에 '플라밍고 백합' 또는 '홍학'이라고도 불린다. 하트모양의 잎 사이로 긴 꽃대가 자라 붉은 화포엽을 이룬다. 꽃말은 '사랑에 번민하는 마음'이다.
고구마
17. 고구마
고구마(Ipomoea batatas)는 남미에서는 5,000년 전부터 존재한 것으로 여겨지며 2,500년경 멕시코 주민들에 의해 카리브해 및 남미로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1,600년대 초 포르투갈에 의해 일본에 유입되었는데, 쌀 수확량이 좋지 않을 때 기근을 예방하는 데 큰 역할을 하며 일본에서 주식이 되기도 했다. 서리에 약하며 24도 정도의 평균적인 기온에서 잘 자란다.
부상화
18. 부상화
부상화(Hibiscus rosa-sinensis)는 꽃의 붉은색과 생김새가 매력적이기 때문에 주로 관상용으로 쓰인다. 말레이시아의 국화이고 인도 지역에서는 신을 섬기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구두약을 생산하는데 사용된다. 추위에 매우 약하며 10 ℃ 이하의 날씨는 견디지 못한다.
디펜바키아 세구이네
19. 디펜바키아 세구이네
디펜바키아 세구이네은 장식용 및 관상용으로 실내에서 많이 재배한다. 초록색의 잎에 하얀색의 얼룩덜룩한 무늬가 특징이며, 흰 꽃이 핀다. 실내 재배 시 주의할 점은 너무 많은 물을 주지 않아야 하며 강한 직사광선을 피해 화분을 놓아야 한다. 식물의 수액에 유독성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
옥수수
20. 옥수수
옥수수(Zea mays)는 1만 년 전 멕시코 남부 원주민에 의해 처음으로 토착된 곡물이다. 1493년 콜럼버스가 스페인에 처음 소개한 후 전 세계로 퍼져 나갔다. 다양한 기후에 잘 적응하며 자라기 때문이다. 동물 사료, 옥수수 에탄올 및 바이오 연료 제조 등으로 활용된다. 조명충나방, 외잎벌레사촌 애벌레 등에 취약하다.
PictureThis을(를) 선택해야 하는 4가지 흥미로운 이유 알아보기
식물을 즉시 식별할 수 있습니다
주변 독성 식물을 식별하세요
쉽게 나에게 맞는 식물을 찾아보세요
식물에 대한 전체 관리 팁과 요령을 얻으세요
앱 무료 다운로드
Icon code

QR 코드를 스캔하여 다운로드하세요

close
close
식물 키우기에 최대의 가이드
더 좋은 방법으로 식별하고, 키우고, 보살피세요!
product icon
17,000가지 국내종 + 400,000가지 국외종 연구
product icon
5년간의 연구
product icon
식물학 및 원예 분야의 80명 이상의 학자
ad
ad
내 주머니 속 식물학자
qrcode
PictureThis Ios DownloadPictureThis Android Download
휴대폰 카메라로 QR 코드를 스캔하여 앱을 다운로드하세요
close
close
식물 키우기에 최대의 가이드
더 좋은 방법으로 식별하고, 키우고, 보살피세요!
product icon
17,000가지 국내종 + 400,000가지 국외종 연구
product icon
5년간의 연구
product icon
식물학 및 원예 분야의 80명 이상의 학자
ad
ad
내 주머니 속 식물학자
qrcode
PictureThis Ios DownloadPictureThis Android Download
휴대폰 카메라로 QR 코드를 스캔하여 앱을 다운로드하세요